스마트 앵커 지지 패널식 옹벽(RWSA 공법)

⦁설치된 모든 앵커의 긴장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스마트 앵커의 인발력으로 패널과 일체화시켜 사면을 보강하는 절토부 패널식 옹벽 공법
⦁적층 및 계단식 시공이 모두 가능하며 다양한 패널의 규격 및 디자인을 사용하여 현장에 적합한 시공 가능

1. 강연선에 광섬유를 부착하여 강연선이 신장 및 압축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형률을 광섬유로 측정하여 앵커의 긴장력을 모니터링하며, 절토부 패널식 옹벽의 앵커 정착 단계 및 도로 운용 중에 발생하는 긴장력 저하 현상을 파악하여 재긴장 또는 추가 설치로 패널과 비탈면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법이다.
2. 패널의 토압 중심(2/3H) 지점에 앵커를 거치시켜 회전 저항에 유리하며, 앵커 설치 위치까지 콘크리트 뒷채움으로 구조적으로 안전하며 협소한 뒷채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앵커 인장 중 패널의 변형이나 이동 거동을 억제한다.
3. 자연석 형태의 패널 사용으로 어떤 비탈면의 자연 환경에도 어울리며, 콘크리트의 인위적인 압박감을 해소하여 미관 효과가 우수한 공법이다.
※ 특허 제 10-2234099호 광섬유가 구비된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감시 시스템

⦁앵커의 정착 단계 및 도로 운용 중에 발생하는 긴장력 저하 현상을 실시간 파악하여 재긴장 또는 추가 설치로 패널과 비탈면에 대한 안정성 및 유지관리성 확보
⦁타 광섬유 기술이나 하중계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과 비교할 때 압도적으로 경제적인 기술임

1. 패널식 옹벽에 사용되는 스마트 앵커는 분포형 광섬유를 센서로 활용하여, 앵커 정착 단계부터 모든 과정의 긴장력 측정 및 모니터링이 가능
2. 토압 저항력 증대를 위하여 정착장에 가변형 패커로 그라우트 가압 주입이 가능하며, 토사 지반에 기초를 설치하는 경우 기초의 지지력 확보를 위하여 마이크로파일 설치 가능
3. 절토 토량의 감소와 용지폭 절감에 유리하며, 앵커 정착부에 캡을 설치하여 앵커를 보호하며 미관을 향상시킴

1

사면 절취

2

앵커 설치

3

패널 설치

4

2단 절취

5

앵커 및 패널 설치

6

반복 시공 및 완료

김천1일반산업단지(4단계) 조성사업 깎기부 옹벽

실시설계 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