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강연선으로 구성된 앵커를 이용하여 앵커에 작용하고 있는 긴장력을 앵커 설치부터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한 공법으로 제거식, 영구식 앵커 타입 모두에 적용이 가능함.
⦁흙막이, 비탈면 보강, 절토부 옹벽, 부력 앵커 등에 사용할 수 있음.
2. 광섬유가 강연선의 측선 사이에 위치하여 강연선 선단을 돌아 나와 두부 부분에서 인근 강연선의 광섬유와 연결이 가능하여 설치된 모든 강연선의 긴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건설 기술이다.
3. 제거식 및 영구식 타입의 앵커에 적용이 가능하다.
4. 광섬유에 근거한 기술로 광통신망이 전국에 전개되어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원격 모니터링으로 다수 현장에 대한 일괄 관리가 가능하다.
※ 특허 제 10-2234099호 광섬유가 구비된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감시 시스템
⦁강연선과 강연선의 측선 사이에 위치하는 광섬유를 강연선의 선단 부분과 시작 부분에 서 고정하여 강연선과 광섬유의 SLIP 문제를 해결한 기술
⦁분포형 광섬유을 상기 아이디어로 적용하여 타 광섬유 강연선 기술이나 하중계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과 비교할 때 압도적으로 경제적임.
2. 강연선 선단에 광섬유가 돌아 나올 수 있도록 유도 부재를 설치하여 강연선 두부에서 2가닥의 광섬유를 노출시킨다.
3. 인장 하중 집중형 구조이나 압축 하중 분산형 구조의 앵커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다.
4. 앵커 정착 단계부터 긴장력 측정이 가능하여 앵커의 정착부터 제거의 모든 과정의 긴장력을 측정할 수 있어 비탈면과 흙막이 벽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5. 광섬유를 연결하고 보호하는 작업은 앵커 설치 과정의 그라우트 주입 단계와 띠장 설치 단계 사이에 이루어져 일반 앵커 시공 공기와 동일하다.
6. 설치된 앵커들의 광섬유를 연결하여 하나의 광섬유로 모든 앵커의 긴장력을 측정할 수 있어 벽체의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1 스마트 앵커체 제작 |
2 천공 |
3 앵커체 삽입 |
4 그라우트 주입 |
5 광섬유 연결 |
6 띠장 설치 |
7 앵커 정착 |
8 모니터링 |
흙막이 벽체(엄지말뚝 + 토류판, 제거식)
계단식 옹벽(영구식)
절토형 옹벽(영구식)
부력 앵커(영구식)
PSC 교량